지난달 남아프리카 보츠와니에서 새로 발견된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가 나타남에 따라, 세계 보건기구 WHO는 이 변이의 이름을 '오미크론'으로 명명하며, 이 변이를 '우려 변이'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이는 그리스 알파벳의 15번째 글자인 '오미크론(Omicron)이라고 합니다.
우려 변이 : 바이러스의 변이체 중 기존 바이러스보다 전염성이 높고 치료법의 효과가 적으며 병증이 심해지는 등의 특징을 지닌 것
(국제영어대학원대학교 신어사전 출처)
'오미크론'이라는 새로운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파력에 영향을 미치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유전자 변이가 무려 32개 달하는 돌연변이를 갖고 있는데, 이는 델타(유전자 변이 16개)의 2배 수준인 것으로 나타나 세계 과학자들은 이 새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기존 델타 코로나 바이러스보다 높은 전파력을 가진 게 아닌지 우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바이러스는 자신의 스파이크 단백질을 이용해서 숙주세포로 침투하기 때문에 현재 코로나 백신들은 모두 스파이크 단백질에 작용하는 방식으로 돌연변이가 더 많아 항체가 바이러스 세포 침입을 막지 못해 감염이 더 쉬워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전 남아공 코로나 19 보건장관 자문위원장의 말에 따르면 '오미크론'이라는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는 우리가 가장 우려하고 있는 높은 전염성과 백신 면역반응 회피 등 이 두 가지를 모두 갖고 있다고 전했다로 합니다.
그 이유는 새로 발견된 '오미크론'이라는 새로운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를 발견한 지 얼마 안 돼서 남아프리카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며, 특히 아프리카를 방문하고 벨기에와 홍콩, 이스라엘 등으로 돌아간 여행객들도 '오미크론'이라는 변종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확진 판정을 받는 등 이미 전 세계적으로 전파가 시작되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영국을 시작으로 유럽연합인 EU는 '비상 제동' 조치를 발동하고 남아공과 보츠와나, 에스와티니 레소토, 모잠비크 나미비아, 짐바브웨등 남아프리카 7개국으로부터의 입국을 제한했다고 합니다. 유럽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싱가포르와 일본, 그리고 미국과 캐나다 등 중동과 미주 국가들도 출입국 통제(남부 아프리카에서 오는 항공편 중단하거나 자국민 외 입국 금지)에 나섰다고 합니다. 남아공은 WHO 권고가 나오기도 전 입국 금지 조치를 하는 것은 성급하다며 반발하고 있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른 나라들은 새 변이에 관한 분석 결과가 나올 때까지 국경 통제등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는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고 합니다.
지난 22일 이집트 여행을 위해 터키를 경유하여 벨기에 도착 후 감기 증상을 보이다가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에 감염된 것으로 유럽의 첫 감염자로 보고 되었다고 합니다. 그 첫 감염자는 백신 미접종자였다고 합니다.
지난해 10월 인도에서 시작된 델타 바이러스가 처음 발견되고 9개월 후에 '우려 변이'로 지정한 것에 비하면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우려 변이'로 지정된 것은 엄청 빠른 겁니다.
국제학술지 뉴 잉글랜드 저널오브 메디슨의 발표에 의하면
1. 영국발 알파 변이
- 화이자 백신 : 93.7% 효과
- 아스트라제네카 : 74.5% 효과
2. 인도발 델타 변이
- 화이자 백신 : 88.0% 효과
- 아스트라제네카 : 67.0% 효과
☞ 변이 바이러스가 이후에 계속 발생함에 따라 유전자 변이가 점점 많아지고 있어, 현재 접종되고 있는 코로나 백신의 면역 회피가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2021년 11월 26일 신규 확진자가 4,068명으로 앞으로도 계속 4 천명대 이상을 예상하고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 백신 접종률은 79%을 넘어섰지만, 아직까지 '오미크론' 바이러스에 대한 전파력을 정확히 가늠할 수 없지만 세계 다른 나라들이 남아프리카 7개국 입국 금지 등 조치를 취한 만큼 우리나라도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오미크론' 바이러스 감염자는 나오지는 않았지만, 작년에 비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점을 고려해 보면 한시라도 방심하면 안 될 것 같습니다.
변이 바이러스가 계속 나타나면서 백신 개발사들도 재빨리 대응하고 나서고 있지만, 그 속도는 느린 것은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보통 최초 실험용 백신이 만들어지는 데에는 60~90일이 걸리는 반면 변이 바이러스 전염성과 침투력은 점점 빠르고 강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래도 백신 개발사들은 변형 '부스터 샷' 개발에 착수하여 빠르면 100일 이내에 출고할 수 있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신규 확진자가 점점 늘어나고 기존 접종했던 백신의 효과도 점점 떨어져서 부스터 샷을 진행하고 있는데, 저희 가족도 부스터 샷 접종 예약을 했는데, 과연 이 부스터 샷이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아무래도 백신 접종도 중요하지만 서로 방역 수칙을 지키며 국내에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가 감염 사례가 없기를 바람입니다.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팍스로비드' 먹는 코로나 치료제 처방시작 (0) | 2022.01.15 |
---|---|
'뉴백소비드프리필드시린지' 노바백스의 야심찬 코로나19 백신 (0) | 2022.01.14 |
넷플릭스 구독료 5년만에 인상 (0) | 2021.11.20 |
요소수대란에 이어 마그네슘 대란 2차 충격 우려 (0) | 2021.11.10 |
화이자 코로나백신 '임상 시험 부실논란' 충격 (0) | 2021.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