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차례상' 이것만 알면 걱정 없어요

by 얼룩나비 2022. 1. 28.
반응형

 

 

 

'차례상' 이것만 알면 걱정 없어요

 

 

 

차례

 

 

 

 

 정의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에 간단히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차례는 원래 다례(茶禮)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으나 지금은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며,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祭)를 가리킨다고 합니다.

* 속절제(俗節祭) : 민간 명절 때마다 조상의 명복을 빌면서 지내던 제사

 

 

 

 

 

 

 우리나라 제사의 종류

 

1. 차례 

  • 설날 (차례) : 설날 아침 조상에 대한 세배를 드리는 떡국차례
  • 추석 (차례) : 한 해 농사가 잘 된 것을 감사하며 햅쌀로 밥을 짓고, 송편을 빚어 올리는 차례

2. 기제 : 공인 돌아가신 기일에 지내는 제사

 

3. 묘제 : 기일이나 명절 때 고인의 산소에 찾아가서 음식을 차려 놓고 지내는 제사

 

4. 세일사 : 기일제를 지내지 않는 5대조 이상의 직계 조상에 대해 일 년에 한 번만 지내는 제사

 

5. 산신제 : 조상의 묘를 모신 산의 신에게 지내는 제사

 

 

 

 

 

 

 

 

 

 

 

 차례상 (제사상) 차리는 방법

 

1. 용어확인

  • 제수(祭需) : 제사 음식을 일컫는 말
  • 제주(祭主) : 제사를 지내는 사람
  • 진설
    (陳設)
    : 제수를 제사상에 차리는 일        

 

2. 차례상(제사상) 지방(신위, 神位)이 놓인 쪽을 북쪽으로 합니다. 제사를 지내는 사람인

놓인 쪽을 북쪽으로 한다. 제사를 지내는 사람(제주)이 차례상을 바라보았을 때 지방의 오른쪽이 동쪽, 왼쪽이 서쪽이 됩니다.

 

3. 차례상은 음양오행설에 따라 해가 뜨는 동쪽은 '양'의 방향, 해가 지는 서쪽은 '음'의 방향이 됩니다. 그래서 생선을 놓을 때 머리는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두는 것이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땅에서 나는 뿌리를 둔 음식은 '음'을 상징하므로 종류의 수를 짝수로, 이외의 음식은 하늘에서 얻어졌다고 해서 '양'의 수인 홀수에 맞춘다고 합니다.

 

 

4. 차례상(제사상)은 보통 5열로 상을 차리는 것이 기본이라고 합니다.

  • 1열 : 지방에서 가장 가까운 첫 줄에는 수저, 밥, 국, 술잔 등 식사류
  • 2열 : 서쪽에서부터 제사상의 주요리가 되는 곡, 생선, 전
  • 3열 : 촛대를 포함한 부요리가 될 만한 탕 종류의 음식
  • 4열 : 밑반찬을 두며 좌포우혜를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
  • 5열 : 마지막 다섯째 줄에는 후식, 과일을 둔다.

 

 

 

 

 

'차례상' 이것만 알면 걱정 없어요
이미지 출처 : 네이버

 

 

 

 

 

 

이는 다음을 바탕으로 차례상(제사상)을 바탕으로 상을 차린다고 합니다.

 

1. 반서갱동 : 밥은 서쪽, 국은 동쪽에 놓는다

2. 직 접거 중 : 구이류는 중앙에 놓는다

3. 시접거중 : 수저를 담은 그릇은 지방(신위)의 앞 중앙에 놓는다

4. 어동육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

5. 동두서미 : 머리를 동쪽, 꼬리는 서쪽에 놓는다

6. 면서병동 : 국수는 서쪽에 떡은 동쪽에 놓는다

7. 백복방향 : 닭구이나 생선포는 등이 위를 향하게 놓는다

8. 홍동백서 : 붉은색 과일은 동쪽, 흰색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9.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에 놓는다.

10. 접종잔서 : 접시는 동쪽, 잔은 서쪽에 놓는다.

11. 전좌습우 : 마른 것은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12. 좌포우혜 : 포는 왼쪽, 식혜는 오른쪽에 놓는다.

13. 생동숙서 : 날 것은 동쪽에, 익힌 것은 서쪽에 놓는다.

14. 조율이시 : 서쪽에서부터 동쪽 방향으로 대추, 밤, 배, 곶감의 순서로 놓는데, 그 외의 과일은 순서가 없다고 합니다.

 

 

 

 

서쪽(왼쪽) 동쪽(오른쪽)
밥, 생선의 머리, 국수, 흰색과일, 고기, 나물, 포, 밤, 잔, 
마른음식, 익힌음식
국, 생선의 꼬리, 떡, 붉은과일, 대추, 생선, 김치, 식혜, 날 음식,
접시

 

 

 

 

 

 

 

 

 

 

 차례상(제사상) 의 음식을 올릴때 주의사항

 

차례상(제사상)에는 매우 다양한 음식들이 올라가지만, 올려서는 안 되는 음식들이 있습니다. 바로 '조상(혼)'을 쫓아내는 음식들입니다.

 

 

 

  1.  붉은팥 : 대신 흰 고물을 사용
  2.  복숭아 : 조상이 집안으로 들어올 수 없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3.  마늘과 고추(고춧가루) : 마늘처럼 향이 강하거나 고추처럼 매운 양념도 '조상(혼)'을 쫓는다고 여기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4.  음식이 짜고, 맵고, 알록달록한 색깔을 가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5.  '치'자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예: 삼치, 꽁치, 갈치). 대신 '어'나 '조'로 끝나는 생선을 올립니다 (예: 조기)
  6.  인연 수어 같은 비늘이 없는 생선은 다른 생선보다 비린내가 강하기 때문에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7.  잉어나 붕어처럼 비늘이 그대로 붙어있는 생선도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8.  장어는 왕으로 상징하는 용과 비슷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올리지 않는다고 합니다.

 

 

 

 

 

 

 

 차례상(제사상)이 복잡한 이유

 

복잡한 차례상(제사상)에 대한 여러 가지 학설이 있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조상들의 건강에 대한 지혜가 상차림에 투영되었다고 보고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좌포우해의 경우 포 종류의 음식보다는 절임 종류의 음식이 좋고, 어동육서 또한 고기의 음식보다는 생선의 음식이 좋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또한 동두서미는 꼬리의 음식보다는 머리의 음식이 좋은 것이니 좋은 것을 먼저 먹으면서 자주 먹어줘야 건강하게 오래 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설날 차례상, 추석 차례상, 제사상의 차이점

 

  • 설날과 추석 차례상의 다른 점은 계절에 맞게 설에는 떡국을, 추석에는 송편을 올린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 제사상에는 계절 음식이 아닌 밥과 국을 올립니다.
  • 제사는 해지고 난 밤에 지냅니다
  • 차례는 해가 뜨기 전에 지냅니다.
  • 설날에는 차례를 지낸 뒤 세배와 함께 덕담을 나눕니다.

 

 

 

 

 

 

차례상(제사상)은 각 지역과 집안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으나, 그에 맞게 지내면서 조상님을 향한 고마움과 자연의 선물을 통해 가족의 화합을 이어주는 따뜻한 명절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간편 차례상 유행 관련 뉴스영상

 

반응형

댓글